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아17

[2025년] 어린이집 아동인권 선임교사 지정, 운영 어린이집에서는 어린이집 보육교사 중 1명을 아동인권 선임교사로 지정해야하며,선임교사는 매 년 1회 이상 자치구별 육아종합지원센터 상담 및 교육에 참여하여영유아와의 상호작용 및 보육교직원의 태도를 점검하고 어린이집 내 인권 존중 태도를 공유해야합니다. 발췌: 2024년 서울시보육사업 안내 187.p 2025. 3. 17.
2023년 부모급여 (사업안내, 신청방법) 1. 부모급여 제도 개요 ○ 아동수당법 제1조 아동에게 아동수당을 지급하여 아동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건강한 성장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복지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2. 부모급여 제도 ○ (부모급여의 정의) 만 2세 미만 아동에 대해 가정양육, 시간제보육 등에 사용하거나 어린이집 이용,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되는 월 단위 보편수당 ○ (부모급여의 종류) 부모급여(현금), 부모급여(바우처) - 부모급여(바우처) : 부모급여(보육료), 부모급여(종일제아이돌봄) ○ (지급형태) 현금 또는 바우처(어린이집 이용 또는 종일제 아이돌봄 이용 시) ○ (’23년도 지원금액) 만 0세 70만원, 만 1세 35만원, 단 보육료나 종일제 아이돌봄 이용 시 바우처 .. 2023. 3. 24.
2023년 강원도 보육료 및 필요경비 수납 한도액 강원도 보육조례 제5조에 따라 강원도 보육정책위원회에서 심의한 사항을 같은 조례 제6조 제7항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3. 2. 20. 강원도지사 1. 2023년도 보육 수납한도액 2. 2023년 특별활동비 수납한도액 2023. 2. 21.
2023년 서울특별시 보육료 및 필요경비 수납 한도액 「영유아보육법 제38조」(보육료 등의 수납)에 따른 '2023년 서울시 어린이집 보육료 등 수납한도액'을 결정하고 붙임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3. 2. 1. 서울특별시장 1. 2023년도 보육 수납한도액 2. 2023년 기타보육료 수납한도액 3. 2023년 특별활동비 수납한도액 4. 2023년 기타필요경비 수납 한도액 5. 적용기간: 2023. 3. 1. ~ 2024. 2. 28. 2023.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