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육교사를 위한/② 보육교직원 교육

어린이집 및 보육교직원 의무교육

by planbee 2023. 3. 23.
반응형

1. 근로자 법정의무교육(4종)

◈ 개인정보보호 교육

구분 내용
근거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
교육 대상 개인정보취급자
교육 시간 연 1회(1시간 이상)
교육 정보
  • 교육 내용
    • 개인정보의 개념 및 중용성
    • 개인정보보호법의 주요내용
    • 개인정보보호 기본원칙과 처리단계별 보호조치
    • 개인정보 유출 대응 방법 및 예방대책
  • 방법 : 집합교육, 시청각교육, 인터넷 강의 등
교육 기관(신청) 어린이집안전공제회(https://e.csia.or.kr/user/edu/eduList.do)

◈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구분 내용
근거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3조 및 동법 시행령 제3조
교육 대상 사업주 및 모든 직원
교육 시간 연 1회 이상
교육 정보
  • 교육 내용
    -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법령
    - 해당 사업장의 직장 내 성희롱 발생시 처리 절차와
       조치 기준
    - 해당 사업장의 직장 내 성희롱 피해근로자의
       고충상담 및 구제절차
    - 그 밖에 직장 내 성희롱 예방에 필요한 사항
  • 방법 : 직원 연수, 조회, 회의, 인터넷 등 통신망을 이용한 사이버 교육 등
교육 기관(신청) 어린이집안전공제회(https://e.csia.or.kr/user/edu/eduList.do)
고용노동부(정보공개 내 자주찾는 자료실) 참고

◈ 퇴직연금 교육

구분 내용
근거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32조
교육 대상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한 사업장의 가입 근로자
(제외 대상 : 퇴직연금 제도를 가입하지 않은 사업장의 근로자, 퇴직연금제도 중 개인형 퇴직연금에 가입한 근로자)
교육 시간 연 1회 이상
교육 정보
  • 교육 내용 : 퇴직연금제도 운영 상황 등
  • 방법 : 온라인 교육, 서면교육
교육 기관(신청) 근로복지공단(퇴직연금 -가입자교육-교육자료실)참고

 

2. 대상자별(담당업무, 규모별) 의무교육(10종)

◈ 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관리에 관한 교육

구분 내용
근거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제20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0조
교육 대상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책임자(담당 보육교직원)
교육 시간 2년에 1회(4시간 이상)
  • 어린이 놀이시설을 인도받은 경우: 인도받은 날로부터 3개월
  • 안전관리자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날로부터 3개월
  • 안전관리자의 안전교육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유효기간 만료일 전 3개월
교육 정보 교육 내용
  •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지식 및 법령
  •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실무
  • 그 밖에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
교육 기관(신청) 행정안전부(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시스템 참고)

◈어린이 통학버스의 안전운행 등에 관한 교육(어린이통학버스 안전교육)

구분 내용
근거 도로교통법 제53조의3, 동법 시행령 제31조의2, 동법 시행규칙 제37조의5
교육 대상 어린이 통학버스 운영자, 운전자, 동승보호자
교육 시간
  • 신규: 어린이통학버스 운영, 운전, 동승하기 전
  • 정기: 2년에 1회
교육 정보 교육 내용
  • 어린이 행동특성
  • 어린이 통학버스 관련 법령
  • 어린이 통학버스 관련 주요 교육 사례 등
교육 기관(신청) 도로교통공단

◈ 어린이 통학버스 동승보호자교육

구분 내용
근거 2023년도 보육사업안내 p.117
교육 대상 어린이 통학버스 동승보호자
교육 시간 2년에 1회
교육 정보 교육 내용
  • 동승보호자의 역할과 안전수칙 등
교육 기관(신청) 도로교통공단

◈ 석면건축물 안전관리인 교육

구분 내용
근거 석면안전관리법 제24조 및 동법 시행령 제35조, 시행규칙 제33조
교육 대상 어린이집의 석면건축물관리인(09.1.1.이전 설치 어린이집)
교육 시간 보수교육: 석면건축물 안전관리인 신고 또는 변경신고를 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8시간 이상의 집합교육(신규교육)을 받은 날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연도 1월1일을 기준으로 2년 마다 4시간 이상
  • '12년~'14년 최초교육 이수자는 '19년 12월 31일까지, '15년~'18년 최초교육 이수자는 '20년 12월 31일까지 보수교육 이수
  • '19년 보수교육 이수자는 홀수년마다, '20년 보수교육 이수자는 짝수년마다 보수교육 이수
교육 정보 교육 내용
  • 건축물 석면관리
  • 석면지도의 이해 및 관리
  • 석면건축물 안전관리인의 역할
  • 석면건축물의 위해성 평가 및 조치방법
  • 석면함유 건축자재 보수 방법
  • 석면관리 종합정보망 소개 및 활용
  • 건축물 석면지도 자체 오류점검 방법 등
교육 기관(신청) 환경부 국립환경인재개발원(https://ehrd.me.go.kr)

◈ 소방안전 관리자 교육

구분 내용
근거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2조, 동법 시행규칙 제31조
교육 대상 선임된 소방관리자
교육 시간
  • 신규교육: 선임 후 6개월 이내(8시간)
  • 보수교육: 2년에 1회
교육 정보 교육 내용
  • 소방 관계 법규 및 화재 사례, 소방시설의 구조원리 및 현장실습, 소방시설의 유지 관리 요령, 소방계획서의 작성 및 운영 등
교육 기관(신청) 한국소방안전원

◈ 승강기 관리에 관한 교육

구분 내용
근거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29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52조
교육 대상 승강기가 설치된 어린이집의 관리자
교육 시간
  • 신규교육 : 선임 후 3개월 이내(4시간)
  • 보수교육: 3년에 1회
교육 정보 교육 내용
  • 승강기 관계 법령, 승강기 구조 및 원리, 긴급사항 및 인명사고 발생 시 조치요령, 승강기 유지관리 및 일상점검
교육 기관(신청) 한국승강기안전관리공단

◈ 영유아 성교육 담당자 교육

구분 내용
근거 2023년도 보육사업안내(p.124)
교육 대상 영유아 성교육 담당자
교육 시간 연 1회
교육 정보 교육 내용 : 영유아 성행동 문제 지도 및 대응방법
※ 어린이집 영유아의 성 행동 문제 관리·대응 매뉴얼 참고
교육 기관(신청)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e-러닝
(https://lms.educare.or.kr/lms/intro.edu)

※ 육아종의 아동학대 예방교육(성행동 지도 및 대응방법 교육 내용) 이수 시 갈음 가능

◈ 실내공기질 관리자 교육

구분 내용
근거 실내공기질 관리법 제7조, 동법 시행규칙 제 5조
교육 대상 연면적 430㎡이상인 어린이집의 원장 또는 관리책임자
교육 시간
  • 신규교육: 1년 이내 1회(6시간)
  • 보수교육: 3년마다 1회(6시간) *면제조항 있음
교육 정보
  • 교육 내용
    • 실내공기질 관련 법령
    • 실내공기질 향상 방법
    • 실내공기질 관리 종합정보망 이용 및 활용 등
  • 방법 : 집합교육, 사이버교육
교육 기관(신청) 환경보전협회(https://www.kepaedu.or.kr/apply/process.do)

◈ 조리원, 영양사 위생교육

구분 내용
근거 식품위생법 제56조, 동법 시행규칙 제84조
교육 대상 상시 50인 이상 집단급식소의 조리사, 영양사
교육 시간 연 1회(6시간)
교육 정보
  • 교육 내용
    • 식품위생 법령 및 시책, 집단급식 위생관리, 식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대책, 조리사 및 영앙사의 자질 향상에 관한 사항 등
  • 방법 : 집합교육, 사이버교육
  •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실시하는 영업자 식품위생교육을 이수하였더라도 조리사 식품위생교육은 반드시 수료
교육 기관(신청) (사)한국조리사협회중앙회
(https://ikcaedu.kr/happy_member_login.php)

 

 

반응형

댓글